피부색과 멜라닌세포 - 성신여대피부과 진료

작성자 포이즌피부과 작성일 2018/02/07 조회 수 24

성신여대 포이즌의원 피부과, 피부질환 치료

피부색과 멜라닌세포

멜라닌을 생성하는 멜라닌세포

 

 

 

오늘은 여러 가지 색소성 질환들과 관련된 근본적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피부의 멜라닌세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멜라닌세포는 멜라닌이라고 하는 어두운색의 색소를 생산하여 개인마다 특징적인 피부색이 나타나도록 합니다. 또한, 색소침착이나 색소성 피부질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성신여대피부과 멜라닌세포1.jpg

 

 

지금부터 성신여대 포이즌의원과 함께, 멜라닌세포와 멜라닌의 생성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성신여대 포이즌의원 피부과 : 멜라닌세포

멜라닌세포의 특징

 

 

 

멜라닌세포는 케라틴세포와 함께,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세포입니다. 표피의 전반에 걸쳐 많은 수가 존재하는 케라틴세포와 달리, 멜라닌세포는 표피와 진피의 경계면에 드문드문 존재합니다.

 

인종에 따라 그리고 각 개인에 따라 피부색이 천차만별이지만, 이러한 멜라닌세포의 수는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케라틴세포와 멜라닌세포는 평균적으로 36:1 정도의 비율로 표피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성신여대피부과 멜라닌세포2.jpg

 

 

멜라닌세포는 가지처럼 뻗은 여러 개의 기다란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성신여대 포이즌의원에서 알려드립니다. 이 돌기들은 케라틴세포 사이로 자라나 퍼져있는데, 이러한 부분들이 멜라닌의 생성과 피부색이 나타나는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성신여대 포이즌의원 피부과 : 멜라닌세포

멜라닌의 생성과 이동

 

 

 

표피의 멜라닌세포는, 그 내부에서 멜라닌소체라는 과립을 생산합니다. 멜라닌소체는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멜라닌을 합성하는 본체라고, 성신여대 포이즌의원에서 알려드립니다.

 

생산된 멜라닌소체는 케라틴세포의 사이사이로 뻗은 돌기로 운반되고, 피부의 표면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게 됩니다.

 

 

성신여대피부과 멜라닌세포3.jpg

 

 

한편 케라틴세포는, 표피의 기저부에서 분화된 후, 표면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각질화되어 생을 마감합니다. 이러한 순환 과정의 첫 단계인 기저부에서, 멜라닌세포의 돌기에 존재하는 멜라닌소체들이 케라틴세포로 전달됩니다.

 

그래서, 많은 수의 케라틴세포들이 저마다 일정한 양의 멜라닌소체를 가지고, 전반적인 피부색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입니다. 케라틴세포의 순환에 따라 멜라닌소체와 멜라닌 색소도 소실되며, 이 과정이 계속 반복됩니다.

 

 

 

...............

 

 

 

성신여대 포이즌의원 피부과 : 멜라닌세포

피부색, 그리고 색소성질환

 

 

 

피부색은 멜라닌세포에서 생성되어 케라틴세포로 전달되는, 멜라닌소체의 양과 멜라닌 색소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고 성신여대 포이즌의원에서 알려드립니다. 피부색은 각 개인에 따라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햇빛에 노출되면 평소보다 많은 멜라닌색소를 만들기도 합니다.

 

 

성신여대피부과 멜라닌세포4.jpg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 표면에 과도한 에너지를 전해 손상을 일으킵니다. 멜라닌은 이러한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 표면을 광손상으로부터 보호합니다.

 

한편, 멜라닌의 생성은 여러 가지 물리적·화학적 자극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들로 특정한 부위에 색소침착이 일어나기도 하고, 기미와 주근깨 등의 색소성 질환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성신여대 포이즌의원에서 알려드립니다.

 

 

성신여대피부과 멜라닌세포5.jpg

 

 

[▲ 성신여대 포이즌의원]

진료과목 피부과, 피부질환 치료

오늘 그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