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구피부과 ▶긁고, 피나고 또다시 긁고, 피나는 피부

작성자 혈관칼럼 작성일 2017/01/26 조회 수 11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고, 피나는 피부 






강북구피부과 피부건조 (4).jpg






땅이 메마르면 균열이 생기면서 갈라집니다.

마찬가지로 피부 속 수분량이 줄어들어 피부가 건조해지면

각질이 들뜨고 미세한 균열이 발생합니다.

또 가려움증과 따가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피부 건조증은 요즘과 같이 대기가 차고, 건조한 시기에 악화되기 마련입니다.






강북구피부과 피부건조 (1).png






강북구피부과 포이즌클리닉

  《 피부건조증, 겨울에만 나타날까? 》 



대기가 건조하면 증발되는 수분량이 많아 피부건조증이 심해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특히 난방기기를 사용하는 겨울철 실내는 피부 수분이 증발되기에 몹시 좋은 환경입니다.

더군다나 분비되는 피지량까지 감소하여 건조함은 악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피부건조증이 겨울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난방기기와 마찬가지로 냉방기기 역시 건조함을 유발합니다.

또한, 땀이 증발되면서 피부 수분까지 증발되기 때문에

여름에도 피부건조증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강북구피부과 피부건조 (2).jpg






강북구피부과 포이즌클리닉

  《 피부건조증은 왜, 쉽게 나아지지 못할까? 》 



환경에 따라 느껴지는 가려움이나 따가움의 정도 차이만 있을 뿐

피부건조증은 쉽사리 나아지지 않습니다.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는 습관을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피부를 긁는 과정에서 더 많은 양의 각질이 탈락되고,

상처가 생겨 진물이 나고, 세균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자주 반복되고, 부위가 넓어지면서 더욱더 피부는 손상받기 때문에

피부건조증은 나아지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피부건조증이 나아지지 못하면

건성습진, 접촉피부염, 안면홍조증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강북구피부과 포이즌클리닉에서 알려드립니다.






강북구피부과 피부건조 (1).jpg






강북구피부과 포이즌클리닉

  《 피부 건조증, 어떻게 나아질 수 있을까? 》 



피부 건조함을 유발하는

강력한 세안제의 사용 / 때밀기 / 뜨거운 물의 사용은 가급적 삼가도록 합니다.

또, 냉난방기기의 바람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하겠습니다.


세안 후 수분이 마르기 전에 보습제를 충분히 바르는 것이

가려움 완화에 도움이 되며, 실내 적절 습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만약, 건조증이 악화되어 건성습진 등으로 발전되었을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연고, 항히스타민제 등을 이용해 치료하여

만성염증질환으로 발전되지 않도록 관리하시기를

강북구피부과 포이즌클리닉에서 당부드립니다.





오늘 그만보기